Successful Story

Following stories are where Cocktail Cloud is being used stably.

HOME
Cocktail Cloud’s Story
Successful Story
Stream Media Using Cocktail Cloud on Mobile Entertainment Platform
Customer
CLARA
Period
2020-11-01 ~ 2020-11-30
2020-11-02 43

1. StreamMedia Corporation은 어떤 회사인지 간단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당사는 1998년 디지털컨텐츠의 휴대전화 및 웹전송서비스를 기초로 해서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부터 영화, 음악, 미디어, 그리고, 예능매니지먼트까지 종합엔터테인먼트회사로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2018년한국SM엔터테인먼트 그룹의 계열사가 되고 난 후,분야별 컨텐츠확보 및 컨텐츠 제작능력 강화는 물론 신규사업으로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플랫폼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플랫폼사업을 기반으로 한국과 일본 뿐 아니라 아시아 시장을 향해 정보서비스를 확대하고, 새로운 비즈니스기회를 창출하여 아시아 No. 1 엔터테인먼트기업의 확고한 위치를 선점하려고 합니다. 


2. 이번에 Cocktail Cloud를 도입하게 된 배경은 무엇입니까?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사업이라는 신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을 개발중심으로 구성하고 운영환경을 최대한 자동화가 가능한 환경을 검토해 왔습니다. 초반부에 aws클라우드환경을 이용하는 것으로 검토하고 일부 시스템을 구축하였지만, 기술세미나에서 컨테이너기반으로 서비스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자동화하기에 최적인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제품군 중 칵테일클라우드라는 통합컨테이너플랫폼에 대해 소개를 받고 검증,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3. Cocktail Cloud를 도입하기 이전에는 어떤 환경이었나요?

각각의 연예인 팬클럽 페이지 등의 서비스는 외부에서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어서 운영하는 회사별로 높은 운영서비스 비용이 별도로 들었고, 서비스환경에 대한 접근에도 제한받는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이용환경도 서비스에 비해 높은 스펙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있었지만, 정보 공개의 비협조로 인해 서비스의 리뉴얼 관련 프로젝트진행에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비효율적이고 고비용에 대한 현상황을 개선하고자 시스템 개발 및 운영전반에 대해 내재화를 준비하는 시기였습니다. 

내재화를 위해 서비스이용환경으로 aws클라우드환경을 도입하고 서비스를 위한 개발환경/검증환경/운영환경의 EC인스턴스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조금 더 진행이 되었더라면 칵테일클라우드를 도입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4. 이전환경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외부 개발운영회사의 개발운영 정보공개의 비협조로 인해 실제 서비스 내부 구조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서비스의 변경 등의 작업을 위해서는 외부개발사의 전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게 되어, 주도적으로 개발업무를 진행할 수 없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운영환경의 불투명함으로 인해 비용이 적정하게 지불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도 불만이 쌓여가고 있었습니다. 

이후,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신속하게 원하는 서비스를 전개하기 위해 당사에서 시스템개발 내재화를 추진하였지만, 개발사의 비협조로 인해 기존 시스템환경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으며, 당시 개발자가 2명 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해서 인프라와 개발 등을 포함하는 리뉴얼 프로젝트를 진행하기가 무척 어려웠습니다. 


5. Cocktail Cloud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 서비스의 Container화(마이크로 서비스 포함)가 필요한데 이 부분은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나무기술로부터 관련 솔루션 제안을 받고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 기존 서비스의 컨테이너화였습니다. 전직장에서 도커상에서 컨테이너화를 하는 파일럿프로젝트 경험은 있지만 실무에 적용하는 단계까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칵테일 클라우드를 소개받고, 미팅을 가지면서 제품의 기능이나 특징, 당사에 도입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어서 POC를 진행하였습니다. 사전에 eks환경을 칵테일클라우드에 등록하고, 약 1주간의 POC를 진행하면서 컨테이너 기술에 대한 이해, 외부사로부터 확보한 샘플소스 의 컨테이너이미지화 실습, 실제 배포를 통한 칵테일 기능 이용 등을 통해 제품개발사의 기술지원을 직접 받으면서 제품의 기능과 운영에 대해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6. 도입 후 가장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가능하다면 예시를 들어 이야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전에 웹서비스를 하나 준비하려면, 시스템 운영팀에서 서버를 구매하고, 서버OS및 기본환경구축, 그리고, 서버내의 각종서비스데몬 설치,설정까지 적게는 1.5개월에서 많게는 3달이상이 걸립니다. 세팅이 완료된 서버가 개발팀에 전달되면 산출물의 탑재, 설정 등의 작업을 거쳐 웹서비스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 모든 과정에 수 명에서 십수명의 관련담당자의 손을 거치게 되니, 인적인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칵테일 클라우드를 도입한 이후에는 이 모든 작업을 1명의 개발자가 1시간 이내에 완료하고 웹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현재의 인원으로 기존 방식대로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했겠지만, 칵테일클라우드를 도입함으로 인프라 운영이 자동화되므로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고, 보안취약점이 서비스에서 발견되더라도 재빌드/재배포를 통해서 간단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그리고, 야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긴급대응할 필요가 없어졌다는 것도 적은 인력이 담당하는 입장에서는 부담이 크게 줄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7. 기술적인 문제 해결이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절감효과는 있는지요?

시스템관리자로서 확실히 절감하고 있습니다. 전체비용면에서는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6-7개의 웹서비스를 따로 운영하던 때와 비교한다면 70~80%정도의 비용절감효과가 있습니다. 정성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더욱 비용절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8. 새로운 기술 도입에 따른 불안감 및 직원들의 반발은 없었는지요?

신규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구성한 팀으로 도입으로 모든 면에서 만족하지는 않지만 반발이 있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기존의 개발방식으로 젠킨스를 도입했지만, 칵테일에서 제공하는 빌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해서 초기에 혼선이 있었습니다. 

현재는 빌드를 포함해서 개발/검증/운영환경을 별도로 두는 방식(워크스페이스 활용)으로 개발자에게는 개발환경만 제공해서 실수로 운영환경에 배포하는 위험을 원천적으로 막아 자유롭게 배포하고 확인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클라우드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어서인지 빌드시간이 조금 걸리는데, 이 부분은 이해를 하면서도 좀더 스펙을 늘려서 빌드시간이 단축되었으면 좋겠습니다. 


9. Cocktail Cloud의 기능중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어떤 것 인가요?

가장 좋은 기능은 파이프라인 기능입니다. 개발에서 배포까지의 과정을 버튼하나로 해결 할 수 있는 자동화기능이 가장 마음에 듭니다. 새로운 개발자가 얼마전 입사했는데, 개발자가 소스를 Git에 올리고 칵테일에서 빌드하고 배포해서 서비스 올리는데까지 1주일정도에 적응하고, 1달이내에 익숙해 질 정도로 쉽게 컨테이너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서버구축 등은 개발자에게 맡기지 않고 관리책임자가 직접 작업을 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별도 설정을 하지 않아도 컨테이너의 복수운영들이 가능하다는 점이 편리한 기능이라고 생각됩니다. 


10. 현재 Cocktail Cloud와 같은 기술을 도입 검토하고 있는 회사에게 조언을 하신다면 어떤 부분이 있습니까?

새로운 기술기반으로 서비스 및 시스템환경을 이행이 필수가 되는 칵테일클라우드를 선뜻 도입하기는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시스템 비용 절감이 각 기업마다 요구되고 있는 지금 시점은 시스템환경의 전환을 통한 획기적인 비용절감과 운영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라고도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도입에 따른 비용절감효과나 제품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POC검토해 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어쩌면 귀사에서 고민하던 문제가 이 제품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Go to the top